~춘란의 배양과 호에 대한이해~
1. 호(縞)의 분류와 배양정보
잎 기부부터 잎끝을 향하여 황·황백·백색의 선상의 무늬가 들어가는 형태로써, 대체적으로 변화가 심해 실호에서 중투로 발전하는가 하면 뚜렷한 호에서도 무지의 잎이나 산반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대체적으로 일본춘란에 비해 한국춘란에서 이러한 현상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성은 좋은 품종이 쉽게 늘어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중투호나 중압호에 대한 희소성을 유지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2. 명품의 자질을 보이는 호(縞)
일반 애란인들에 있어 발전 가능성이 높은 호를 구분한다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다음에 설명된 호를 구입하거나 산채묘를 채집하게 되면 배양의 묘미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첫째, 배골에 나타나는 호가 짧은 것보다는 길게 들어간 개체.
둘째, 굵고 짧은 한 줄의 호 보다는 몇 줄의 실호가 든 개체.
셋째, 실호가 한 잎장에 한 개 이상 존재하는 개체,
호가 끊어졌다가 다시 이어지는 개체.
넷째, 호가 산반처럼 칙칙하게 들어있는 개체.
다섯째, 천엽보다는 치마잎에 호가 존재하는 개체.
여섯째, 호가 잎의 끝쪽 보다는 기부 쪽에 들어있는 개체가
대체적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으며,
일곱째, 색깔에 있어서도 설백색 보다는 노랑색의 호가 들어 있거나
색감이 탁하지 않고 맑은 것,
여덟째, 호에 약간의 주금색감이 느껴지는 개체가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편 배양품을 구입할 경우 고정성이 완성된 대주보다는 생강근에서 올라온 2촉∼3촉의 유묘로 선택하는 것이 배양의 묘미를 더할 수 있고, 개체수가 많은 것을 구입할 경우에는 반드시 발전 촉의 호가 더 선명한 개체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호의 다양한 형태
1) 발호( 拔縞 )
호가 잎의 끝을 뚫고 나가는 형태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무늬가 빠진다'라고 표현합니다.
이런 품종은 다음 새촉에는 중투호로도 발전할 수 있으나, 그 확률이 극히 미미하고 무늬가 안정되지 않아 대체적으로 복륜이나 무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삼광호( 三光縞 )
흰색이나 노란색의 잎끝에 조가 나타나고 잎의 밑부분인 기부에서 중간 정도까지 몇 개의 호가 나타나며, 조와 호 사이에 녹색이 남아 있는 무늬 형태를 말합니다.
3)
삼광호에서 녹색이 남아 있지 않고, 조까지 호가 닿아 있는 무늬 형태를 말합니다.
4) 쇄모호( 刷毛縞 )
쇄모 무늬란 납작한 붓으로 그린 것처럼 짧막한 가는 선의 집단이 잎에 나타나는 것인데 산반무늬의 일종으로, 잎에 나타나는 호가 선으로 이어지지 않고 토막토막 나타나는 형태를 말합니다.
5) 원평호
배골을 기준으로 한 쪽은 전부 녹색, 다른 한쪽은 모두 무늬를 보이는 형태를 말합니다.
6) 중반호( 中斑縞 )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호를 '반호'라 하며, 중투와 같은 무늬이나 녹복륜과 무늬와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개체를 일컫습니다.
7) 편호( 片縞 )
배골을 기준으로 한쪽은 무늬를 전혀 나타내지 않으나 다른 한쪽에 호가 들어간 형태입니다.
8) 축입호( 蹴翔縞 )
조에서 몇 줄의 호가 잎의 기부를 향하여 호 모양으로 백·황색의 줄이 드리워진 형태입니다.
4. 호의 발전성
1) 편호( 片縞 )
일반적으로 복륜이나 조복륜으로 발전 될 가능성이 높으며, 중투호로의 발전 기대는 매우 미약합니다.
특히 편호가 설백의 경우는 대부분 복륜이나 조복륜으로 발전하게 되며, 황색의 편호는 간혹 호로 나와서 중투로 발전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2) 산반호( 散斑縞 )
산반 중투로 발전하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산반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전면호( 全面縞 )
호의 방향이 잎장에서 동일 방향에 존재하느냐 아니냐가 선별의 기준이 되는데, 호가 잎의 앞·뒤쪽에 혼재하여 나타나는 것은 전면호라 할지라도 그 가치가 떨어집니다.
4) 감호( 紺縞 )
대부분 색화 기대품에 속하며 후발 복륜 이상은 발전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감호, 감복륜, 감중투 등은 엽예품으로 보다는 화예 기대품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5) 잎장에 호가 한줄만 들어 있는 경우
제 1엽에 호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발전 가능성이 거의 희박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6) 강한 색감의 호가 반이상 될 경우
일반적으로 갓이 존재하면(잎끝이 터지지 않은 것) 중투로의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발호의 경우는 호화 기대품 이상은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