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개 자료방

청주만들기

saraesil 2008. 4. 21. 11:45
래 설명에서 표시된 페이지는 "우리 술 빚기 ECO BOOK" 책입니다.


청주만들기
(p67 셋.1단담금 3번부터 진행하면 됩니다.)

1. 1단 담금
1) 발효통에 입국 2kg과 물 2.5L, 효모 2티스푼을 넣고 골고루 혼합한다.
2) 23~28℃(실내온도 정도)에서 3~5일간 발효시킨다.
3) 하루에 한번씩 저어준다.

2. 고두밥 만들기
1) 쌀 2.4kg을 씻어서 2시간 물에 불렸다가 건져낸다.
2) 물에 불린 쌀을 바구니에 담아 1시간 정도 물을 뺀다.
3) 물기를 뺀 쌀을 광목천에다 담아 찜통이나 시루에 넣고 찐다.
찜통 바닥에 적당히 물을 채워야 한다.
4) 김이 나기 시작할 때부터 40~60분간 찌고 20분간 뜸을 들인다.
5) 다 익은 고두밥을 펼쳐서 체온정도가 되게 식힌다.

3. 2단 담금과 발효
1) 1단 담금한 발효통에 고두밥, 물 3.9L을 첨가하여 골고루 저어준다.
2) 2일간 하루에 1~2회정도 저어준다.
3) 5~15일간 발효시킨다.

4. 탁주만들기(p54)
1) 5~7일 정도 발효시킨 후 천주머니나 체로 걸러낸다.
2) 알코올도수가 16%내외이므로 도수를 낮추고자 한다면 1~1.5배의 물을 탄다.
3) 마시기 전에 적당히 설탕을 첨가해 달착한 탁주를 만들어도 좋다.

5. 청주 만들기(p40)
1) 2단 담금후 10~15일간 발효시킨다.
2) 발효가 완전히 끝나면 용수를 박거나 천주머니로 걸러낸다.
3) 천주머니로 걸렀다면 처음엔 탁주와 같은 뿌연상태가 된다.
4) 유리병이나 생수병에 걸러낸 원주를 넣고 공기차단기를 설치한 후
1주일 이상 흔들리지 않게 두면 위부분이 맑게 된다.
5) 맑은 부분을 따라내면 약주가 되고 아래 부분은 탁주로 마신다.



아래 글은 입국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 것입니다.

입국 만들기(p70)
1. 쌀 1.6kg을 물에 불리기, 물빼기를 거쳐 고두밥을 찐다.
2. 광목천에 고두밥을 펼쳐 식힌다.
3. 체온보다 조금 높게 되었을때 백국균 2티스푼을 골고루 뿌려준 다음 균일하게 섞어준다.
4. 고두밥이 쌓이 광목천을 만두처럼 보쌈하여 가볍게 묶는다.
5. 찜통을 따뜻한 곳에 놓고 이불로 감싸주어 15시간동안 둔다.
6. 이때부터 고두밥의 온도가 올라가기 시작하는데 광목천을 풀어 헤쳐서 식힌 다음 다시 보쌈한다.
7. 3시간에 1번 총 2번 광목천을 풀어주어 열을 배출시킨다. 온도가 높다면 이불을 덥지 않는다.
8. 이후 찜통에 광목천을 묵지 말고 풀어 헤쳐서 6시간 이상 둔다.
9. 고두밥을 살펴보아 쌀알이 하얗게 피었다면 완성된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몇시간 더 둔다.
막걸리나 약주(청주)를 담그려면
삼복(초복,중복 말복)중 한날을 택해 누룩부터 만들어야 합니다.
복날 만들어야 강한 누룩맛이 든다하네요.

우리밀 한말을 사와 씻어 물에 담급니다.
곧 체나 소쿠리에 받치어 건져서 방아간으로 갑니다.
거칠게 빻아(타)달라고 하여 가져옵니다.

메주틀(목공소에서 만들어 달라 부탁한 위아래가 없는 네모틀)에
흰광목을 밑에 깔고 빻아온 밀가루를 담습니다.
가운데 지점에 흰밀가루 한줌을 넣으면 더욱 잘 발효가 됩니다.
위에 나머지 누룩재료인 타온 밀가루를 채워 담고 광목을 다시 위로
덮습니다 .광목은 메주틀을 다 감쌀만큼 큰것으로 준비해야겠지요.
그리고 발로 꼭꼭 눌러줍니다.

그렇게 여러개를 만들어 짚으로 걸기 쉽게 리본 형식으로 매어줍니다.
끈도 넉넉히 연결되게 만들고요.

쑥등 잡초를 여러가마니 베어와서 아래위에 깔고 그속에 빚어 놓은 누룩을 파묻고
일주일 놓아두면 삼복더위에 풀이 썩는 열기로 누룩이 잘 발효됩니다.
다시 꺼내어 통풍이 잘되는 곳에 일주일 정도 걸어 말립니다.
누룩도 메주와 같이 곰팡이가 발효균이므로 거죽에 핀 곰팡이를 닦아내지 마세요.

여기까진 손이 많이가서 울 엄니도 내년부턴 누룩을 사서 술을 담그신다 합니다.
사는 누룩은 직접 만든 것보다 술만드는 성분이 한결 약합니다.

***************************************************

자, 이제 술을 빚기요...

쌀 한말을 기준으로 용량을 말씀드리지요...

술이 강한 맛이길 원하시는 분은 쌀 9되에 찹쌀1되(9:1),
여성취향으로 감칠맛 나고 단맛의 술을 원하신다면
쌀7되 찹쌀 3되가 알맞습니다(7:3).

또 누룩은 쌀한말에 으깬 누룩 3되, 시중에서 파는 누룩은 으깨어 4되.

그 한말의 쌀을 씻어 물에 충분히 불립니다.
그다음 꼭 증기에 쪄내야 합니다.
예전에는 시루에,요즘엔 찜통 천깔고 ,혹은 방아간에서...

돗자리, 혹은 일회용 돗자리, 큰그릇등에 얇게 펴 식힙니다.
식힌 밥(꼬두밥) 한말당, 집에서 만든 강한 누룩이라면
미리으깨어 3되, 시중에서 산 누룩이라면 4되를 절구를 이용하여
빻아 (혹은 망치로 너무 곱지 않게 때려서 으깹니다.)
꼬두밥과 함께 잘 섞어줍니다.
중간에 이스트 한술도 섞어줍니다. (넘 많이 넣으면 술이 써집니다.)

항아리에 위의 섞은 재료를 모두 담고
광천수 (샘물,지하수...)를 한 양동이 (1.8리터 ~2리터),
혹은 손바닥을 펼쳐 넣어 손목까지 차 (2cm정도) 올라오게 넣습니다.

밑에 열이 직접 닿지 않게 나무를 井자 형태로 깐뒤, 담요를 밑에 펼쳐 깔고,
항아리 얹고 ,담요로 다시 전체를 감싸듯 잘 둘러줍니다.
요즈음 날씨에는 방에 난방을 해 줍니다.

보통 일주일 발효시킨다 하는데, 난방정도에 따라서
5일만에도 발효가 되니 술익는 내음이 크으~ 난다면
항아리 뚜껑을 벗기어 밥알이 충분히 삭았나, 술맛이 충분히 들었나 본뒤,
만족할만큼 되었다면 선선한 베란다로 옮기어 놓습니다.

술에 작은 국화를 넣으면 국화향을 즐길수 있으나, 없으면
과감히 생략해야 합니다.(물을 넣을때 함께 넣음)

항아리의 가운데에 용수를 박으면
그속으로 맑은 술이 찰랑찰랑~ (약주라 칭함) ,

나중에 용수에 술이 고이지 않을 정도로 다 먹었다면,
무명 혹은 삼베 혹은 한복치마의 안감으로 만든 주머니에
술찌꺼미를 넣고 동여맨 뒤 짜냅니다.
(짤때 절대 물을 섞지 마세요, 술맛이 오히려 써 집니다.)

힘을 절약하려면 찌꺼미를 담은 주머니를 동여맨뒤
큰 다라이에 넣고 그위에 맷돌을 올려놓으면 잘 짜내집니다.
그것이 막 걸렀다 하여 막걸리입니다.

****************

울방에서 직접 술담그기를 해보실 분은 어느 분이실지 궁금합니다.

'비공개 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안본가  (0) 2013.01.14
html(</TD></TR></TBODY></TABLE>)  (0) 2008.07.12
html(TD background)  (0) 2008.07.12
플래시 비디오파일 올리기  (0) 2008.04.08